안녕하세요, 별2의 사생활입니다.
23년에 바뀐 정책들이 많이 있지만 그중에 우리에게 익숙했던 유통기한이 사라진다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38년 동안 우리의 일상 속에서 익숙하게 사용해 온 유통기한이 23년 1월부터 소비기한 표시제로 변경되었다고 하는데요 그동안 사용했던 유통기한이 왜 바뀌는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통기한이 유통업체가 식품을 판매할 수 있는 기간을 표기한거라면
소비기한은 소비자가 식품을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기한을 말합니다.
소비기한이 표시되면서 좀 더 안전하게 음식을 섭취할 수 있게 되었지만 길어진 보관 기간 등 안전성이 염려되는 것도 사실인데요, 그동안 큰 불편함 없이 익숙하게 사용했던 유통기한을 계속 사용하면 안 되는 것일까요?
왜 유통기한을 소비기한으로 바꿔야하는 것일까요?
국내에서 생산하고 있는 식품의 약 90% 정도는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인 해썹(HAPP)이 적용되고 있으며, 식품 제조 기술은 계속 발달하였고 냉장유통 환경도 개선됐을 뿐만 아니라 이제 대부분의 가정에서 냉장고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제는 예전과 다르게 안전하게 제품을 생산하고 유통하는 체계가 갖추어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소비기한 제도를 도입해야 하는 이유는 유통이 가능한 기한과 소비 가능한 기한의 혼란을 없애 먹어도 되는 식품의 폐기를 줄이고 그로 인한 탄소 중립을 실천하기 위해서입니다.
40년 전 유통기한이 처음 도입됐을 때 기업의 반대 등 여러가지 문제가 있었던 것처럼 소비기한 표시제가 도입되면서 여러 가지 변수와 문제가 발행할 수 있겠지만 불필요한 식품 폐기를 줄이고 탄소 중립을 실천하기 위하여 정부나 업계 그리고 소비자 또한 힘을 합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25년까지 빵, 두부류 등 200개 식품 유형과 2000여개 품목에 소비기한을 설정할 수 있는 참고값을 제시하고 올바른 섭취 기한을 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하며, 업계는 이러한 참고값을 활용해 혼란이 없도록 최대한 빠른 시일에 소비기한으로 전환하고 소비자는 식품별 소비기간을 확인해 올바른 소비를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올해까지는 계도기간인 만큼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이 표시된 제품이 함께 확인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는 특히 표시된 내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별2의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동행카드(기동카) 여기서 한번에 알아보자~! (0) | 2024.01.19 |
---|---|
난방비 지원 대상과 지원금/가스, 전기, 난방비 지원 서비스 대상 여부 확인방법 (0) | 2023.02.06 |
서울 택시 기본요금 인상 자세히 알아보자(금액 비교) (0) | 2023.02.02 |
30일 부터 실내마스크 의무 해제, 예외 장소는? (2) | 2023.01.27 |
2023 근로장려금 대상 및 신청 방법과 지급일 (0) | 2023.01.18 |
댓글